일상생활에서 자주 쓰는 동사중에 제일 많이 틀리는 동사... "낳다" "낫다" 심지어 "낮다"...
매번 커뮤니티 사이트에서 논란이 되는
틀렸을때, 가장 무식해 보이는 맞춤법 TOP에 항상 등극하는 동사들입니다.
헷갈리셨던 분들 이번에 빠르게 TIP 외우고 가셔요!
검색해서 나온 글들은 당최 무슨 소리인지도 모르겠고 어려운 말로 문법 설명을 하니
제대로 눈에 들어오지도 않아서 최대한 간단하게 낫다, 낳다, 낮다, 났다 구별하는 법 정리해 보았습니다!
1. 감기, 병 걸렸을 때 / 어떤 것보다 더 좋을 때 => 낫다 |
감기, 병 걸렸을 때는 무조건 '낫다'입니다. (병이 치유되다의 의미)
보다 더 좋은 경우를 말할 때도 '낫다'입니다. (보다 더 좋다의 의미, 이게 더 낫다. 이럴 경우 사용)
올바른 사용 예시 보여드립니다.
- 빨리 나으세요! - 감기 빨리 나아 - 건강이 빨리 나아졌으면 좋겠어 - 감기 다 나았어? - 다 나은 거 맞아?
- 이 장갑이 훨씬 나은듯 - 이게 더 나아진 버전이야
|
활용할때는 ㅅ받침이 없어집니다(낫다 가 불규칙 활용이라 그렇습니다.)
2. 알, 또는 새끼를 출산할 때 / 결과를 가져올 때 => 낳다 |
생명을 출산하는 것은 '낳다' 입니다. ( 일상생활에서는 임신이야기나, 반려동물의 출산 이외에는 쓸 일이 없습니다. )
+ 어떠한 결과를 가져오는 것도 '낳다'입니다.
'낳다'라는 의미를 : 내가 품고 있던 어떠한 것이 눈앞에 나타나게 된다! 라고 이미지적으로 외우면 이해가 빠릅니다.
*point*
즉, 특별하게 생명 또는 결과를 출산하는 행위에만 '낳다'가 사용됩니다.
'나'가 'ㅎ'을 낳는 모양 이라고 외우면 쉽습니다.
이런 특별한 경우에만 사용한다는 것을 알면 외우기 쉽습니다!
올바른 사용 예시 보여드립니다.
- 강아지가 새끼 5마리를 낳았어. - 우리 집 닭이 낳은 달걀이 훨씬 하얗다. - 고양이가 새끼를 잘 낳을 수 있도록 기도했다.
- 이번 시험으로 좋은 결과를 낳았다. - 많은 이익을 낳는 방법
|
3. 높지 않다, 높다의 반대말 => 낮다 |
'높다'의 반대말 = '낮다'
올바른 사용 예시 보여드립니다.
- 이 빌딩의 높이가 더 낮아. - 걔는 스스로 낮은 계층이라고 생각하나봐. - 더 낮게 몸을 낮춰야 해. - 온도를 낮추다.
|
높지 않다를 표현하는 모든 표현은 전부 '낮'이 들어갑니다.
높이가 낮다, 몸을 낮추다, 온도를 낮추다.
4. '나다'의 과거형 => 났다 |
의미상으로는 전혀 관계가 없지만, '낫다'와 '났다'를 헷갈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신체 표면이나, 땅 위에 솟아나는 것 => 나다
길, 구멍이 생길 때도 => 나다
어떠한 것에 새로운 현상이 나타날 때 사용하는게 바로 '나다'입니다. (이미지적으로 외우면 더 이해가 쉽습니다.)
바로 이 '나다' 의 과거형이 '났다' 입니다.
올바른 사용 예시 보여드립니다.
- 어제 얼굴에 여드름 났어. - 그저께 기둥이 무너져 난리가 났었어. - 양말에 구멍이 났네 - 아까 합격자 발표 났던 거 못 봤어?
|
일상생활에서 가장 많이 틀리고, 주의해야될 맞춤법 알아보았습니다!
특히, 낫다와 낳다를 헷갈리는건 정말정말 호감도에 영향을 미치므로 꼭!! 숙지해서
실수하지 않도록 해야겠습니다!!
다음시간에 만나요!
'자주 틀리는 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든, 던 빠르게 구별하는법 : 1문장만 외우면 끝!! (0) | 2020.02.17 |
---|---|
의외의 한자어: 도대체, 어차피, 무진장, 과연.... (1) | 2020.02.05 |
에와 의 차이 한방에 이해하기! (23) | 2020.02.02 |
명절을 쇠다 vs 쇄다 vs 새다 vs 세다 ?! (0) | 2020.01.29 |
되, 돼 구별법 간단하게 2가지로 체크! (0) | 2020.01.28 |